지난 6일 삼성증권 공매도 사건을 발단으로 '공매도 폐지' 논란이 일고 있는데요.

도대체 공매도가 무엇이길래 개인투자자들의 비난이 쏟아지는 걸까요?

공매도란 말 그대로 '없는 것을 판다는 뜻인데요 즉, 가지고 있지 않은 주식을 빌려서 판다는 의미입니다.

주가 하락이 예상될 때 비싼 가격에 매도하고 가격이 내려가면 이를 사서 갚아 차익을 내는 투자 기법입니다.


공매도에는 크게 두 가지 유형이 있는데요.

하나는 말 그대로 없는 주식을 미리 파는 무차입 공매도로, 보유하고 있지 않은 주식을 먼저 판 다음 결제일이 오기 전 시장에서 되사 대여자에게 반환하는 과정에서 차익을 얻는 방법입니다.


 이번 삼성증권 배당 사고는 무차입 공매도에 해당하는데요.

 실제 발행되지 않은 '유령주식'이 시장에 유통되면서 결과적으로 없는 주식을 파는 '무차입 공매도' 형태의 거래가 이뤄졌기 때문입니다.

공매도

 참고로 우리나라에서는 무차입 공매도는 금지돼 있습니다.

.

 또 다른 방식은 빌려온 주식을 매도하는 차입 공매도로, 기관 등에서 보관시킨 주식을 가진 한국예탁결제원이나 증권사 등에서 주식을 빌려 매도해 사익을 얻는 방법입니다.

 

실질적으로는 공매도는 기관과 외국인 투자자들 사이에서 이뤄지는데요, 증권사에서 빌려 간 증권만 공매도 할 수 있습니다.

 즉 '차입용 주식'을 이용하는데요, 증권사에서 개인에게 매월 소액의 수수료를 지급하고 주식을 빌려달라고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A 기업의 주가가 10만원인데 그 기업에 곧 악재가 생겨 5만원까지 떨어질 것이라는 정보를 들은 B 기관이 있다고 가정해보면, 

B 기관은 증권사에서 A 기업의 주식을 10만원에 차입용 주식으로 빌린 후 매도해 현금을 확보합니다.

 며질 후 A 기업의 주가가 5만원으로 하락하면 5만원에 다시 주식을 사서 공매도에 사용한 차입용 주식을 다시 증권사에 줍니다.

 이를 통해 5만원의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공매도 역시 예측을 기반으로 하기에 실패할 확률도 있습니다.

 만약 실패한다면, 공매도를 위해 빌렸던 주식들을 주가가 상승한 만큼 웃돈을 주고 갚아야 합니다.

 이렇듯 공매도가 무조건 성공하는 건 아닌데, 


왜 개인투자자들 사이에서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범으로 꼽힐까요? 

원직적으로는 개인투자자도 공매도가 가능한데요.

개미투자자

 하지만 상대적으로 개인에 비해 큰 자본력을 가진 기관과 외국인 투자자들의 공매도 수량이 많아지면, 

기업의 가치와 상관없이 주가가 크게 하락할 수 있기 때문이죠. 

또한 물량이 충분한 기관이라면 공매도에서 이익을 보기 위해 주가 폭락을 유도하는 만행을 저지를 가능성도 있습니다.


실제로 2016년 내부 정보를 먼저 입수한 기관투자가들이 공매도로 한미약품 주식을 팔아치워 주가가 18% 폭락했던 사례가 있습니다. 


하지만 공매도의 순기능을 무시할 수 없는데요. 

공매도를 할 수 있다면 주가가 상승할 때뿐만 아니라 하락할 때도 이익을 거둘 수 있습니다. 

또한, 버블을 막아주고 거래에 유동성을 공급해주며 가격의 연속성을 제공합니다. 


이처럼 공매도는 '증권시장의 불안정성을 높이는 투기적인 거래'와 ,시장 효율성과 유동성을 높이고 

주식거래 위험분산 기능을 갖춘 거래 형태를 경비한 양날의 검으로 평가받고 있으니 투자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Recent posts